연극 부뜰이네
일상을 살아가기 위한 그로테스크 |
연극 <부뜰이네>는 프란츠 크사버 크뢰츠의 <가내노동>을 각색한 작품이다. 지난해까지는 <가내노동>이라는 제목 그대로 무대에 올려졌지만 이번엔 새로운 제목으로 무대에 올려진 것이다. 얼마전 그의 <오버외스터라이히>를 각색한 <경남 창녕군 길곡면>을 재밌게 봤었다. 원작이 어땠는지는 알 수 없지만 두 작품의 줄거리로 보았을 때 두 작품이 비슷한 분위기를 풍겨야만 할 것 같았다. <경남 창녕군 길곡면>은 확실히 일정한 분위기를 가진다. 그런데 <부뜰이네>는 애매모호하다. 그 애매한 분위기는 암전되는 동안 흐르는 음악과 배우들의 분명치 않은 연기 혹은 대사에서 나온다. 우울한 분위기에서 경쾌하고 익살스러운 음악은 이 연극을 기괴하게 만든다. 그래서 처음에는 부조리극같은 냄새를 풍긴다. 하지만 극을 끝까지 보고 난 후에 든 생각은 확실한 색깔을 만들지 않은 것 같다는 의구심이 든다. 그건 아마 <경남 창녕군 길곡면>을 계속 떠올렸기 때문일 수도 있다. 굉장히 심각한 상황이지만 배우들의 대사나 연기가 심드렁한 부분이 있다. 아마 그건 희곡에 충실한 모습일 것이다. 가난이 가져온... 무기력이라기 보다는 그 어떤 상황도 담담히 받아들이게 되는... 항상 어깨를 펼 수 없을만큼 큰 짐을 지고 있어서 버럭 화를 내며 어깨를 펼 수 없는 것이다. 아내가 임신 사실을 밝히기 전까지는 조금 더 밝은 이미지를 보여주고 암전시 들려주는 음악은 그대로 유지해도 좋을 것이다. 하지만 그 후에도 그 경쾌한 음악을 사용하면 분위기가 너무 모호해지는 것 같다.
아내가 남편에게 후회할 것이라고 말한다. 그리고 스릴러에 나올 듯한 음악이 흐른다. 이건 복선이다. 관객들은 기대한다. 하지만 그녀가 하는 선택이라고는 그저 집을 나가 친가로 가는 행위일 뿐이다. 하지만 그것이 현실이며 그들에게는 큰 일탈일 것이다. 아무리 생각해도 이 작품은 기괴하다. 아이를 없애기 위해 뜨개바늘을 자궁 속으로 밀어넣고, 아이는 뿔이 두 개 달린 기형의 모습으로 태어난다. 그리고 남자는 여자가 없는 사이 아이를 죽인다. 이 세 장면이 가장 기괴한데 그들의 삶은 파국으로 치닫지 않고 마치 작은 부부싸움을 하는 듯 그리고 그 싸움이 끝난 듯 일상을 살아간다. 남편이 아이를 죽였을 거라고 아내는 짐작하고 있다. 하지만 담담하다. 아내는 어쩌면 기대하고 있었던 걸까? 그래서 일부러 집을 비운 것일까? 자신이 없으면 남편이 아이를 죽일 지도 모른다고, 그러면 다시 덜 힘든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걸까? 결과적으로는 그녀의 생각이 맞았다. 그들은 아기가 태어나기 전의 모습으로 돌아갔고 남편의 일이 잘 풀려 어쩌면 전보다 나은 삶을 살아갈 듯한 분위기다. 무섭다. 마치 오랜 전쟁 중 사람들이 보여주는 행위와 무덤덤함, 작은 안위에 대한 갈구가 가난이라는 것 때문에 생겨난 것만 같다. 그들이 돈이 많은 부자였다면 어땠을까? 사실 그들이 잘 살았다면 아이를 낙태했을까? 왠지 그건 아닐 것 같다. 적어도 아내가 아이가 죽게 내버려두지는 않았을 것 같다.
그들의 가난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무대 디자인이었다. 비밀하우스에 살고 있는 그들의 모습과 욕실이 없어 물을 대야에 받아서 사용해야 하고 끊여야 하는 모습들이 생생하게 다가온다. 아직도 잘 이해가 되지 않는 장면은 암전시 남자가 만들어 놓은 개의 교미하는 모습을 조명으로 비추는 건 왜 일까? 처음 한 번은 이해할 수 있었다. 바로 전 장면이 그것을 설명해 주었으니까. 하지만 그 후에도 여러번 그것을 비추는 의미를 잘 모르겠다.
위 에서 말한 기괴한 세 장면보다 연극에서 가장 섬뜩한 장면은 여자가 친정에서 돌아와서 씻는 장면이다. 극의 초반에도 나오는 장면으로 그들의 삶이 완전히 아기가 없었던 때와 같아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듯하다. 하지만 그녀가 씻고 있는 그 대야... 그 대야는 남자가 아기를 죽였던 그 대야다.
'무대를 바라보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연극] 디너 - 결혼에 대한 불편한 진실을 이야기하다 (0) | 2012.07.02 |
---|---|
[소리극] 황진이 - 종합 선물세트 전통 공연 (0) | 2012.07.02 |
[뮤지컬] 넌센스 - 장기자랑은 학예회에서?! (0) | 2012.07.02 |
[전통공연] 트래디셔널 교겐 - 일본 전통극에 매료되다 (0) | 2012.07.02 |
[연극] 마누래 꽃동산 - 투박하고 따뜻한 연극을 표방하다 (0) | 2012.07.02 |
[퍼포먼스] 점프 - Story가 아닌 Performance (0) | 2012.07.02 |
[뮤지컬] 장부가 - 채워주고 싶은 아쉬움 (0) | 2012.07.02 |
[연극] 너희가 나라를 아느냐 - 내용과 형식, 운영까지 고루함을 벗어나지 못하다 (0) | 2012.07.02 |
[뮤지컬] 생명의 항해 - 사라진 반공영화의 뮤지컬 재현 (0) | 2012.07.02 |
[연극] 애자 - 영화를 연극으로 새롭게 보여주기 (0) | 2012.07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