염쟁이 유씨
염쟁이 유씨의 마지막 염 |
염쟁이는 장의사의 다른 표현이다. 작가가 스스로를 글쓰는 글쟁이라 하듯 염쟁이는 자신을 염하는 염쟁이라고 부른다. 의사가 산 사람을 위해 존재하듯 장의사는 죽은 이를 위해 존재한다. 염쟁이는 죽은 이가 이승의 삶을 잘 마무리하고 저승으로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이다. 죽은이가 이승에서 마지막으로 만난 그가 저승에서 처음으로 만날 저승사자에게 망자를 건네준다. 작은 공간에서 죽은이를 다루는 것이 직업이기에 호기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. 의사보다는 제사장과 같은, 죽은이를 향한 의식들이 염쟁이를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.
<염쟁이 유씨>는 오랫동안 호평을 받으면서 공연되어지고 있어서 보고 싶었던 무대였다. 세번째 보는 모노드라마였고 일인극이다보니 배우가 누구고 그의 역량이 어떤가에 따라서 극에 대한 평가는 크게 달라질 수 있을 듯 싶었다. 관객과의 경계가 지어져있지 않다는 점에서 배우의 센스가 중요하다. 내가 본 공연의 배우도 배테랑이고 이 공연을 오랫동안 해 오던 배우였는데 대사가 명확히 들리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. 너무 익숙해서 자연스러운 흐름을 중시에 명확한 대사전달을 등한시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.
과장, 차장, 부장, 사장, 회장.... 다음엔 송장. 무얼 위해 그리 악착같이 사누.
<염쟁이 유씨>의 이야기는 유씨가 염을 하는 과정을 담은 것을 큰 줄기로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. 살아있지만 늘 죽음과 맞닿아있는 사람이기에 죽음에 대한 생각과 관점이 굉장히 넓고 깊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. 그럼에도 가족의 죽음은 다른이가 겪는 가족의 죽음과 다를 것이 없었다. 부모를 염하고 아내를 염하고 자식을 염해야하는 유씨는 더 이상 염을 할 수 없다. 직업으로서의 염쟁이, 노동으로서의 염이 너무나 큰 감정적 소모를 요구하게 되어버렸기 때문이다. 유씨는 자신이 더 이상 죽은이를 염하는 것을 견딜 수 없을 거라는 걸 깨닫고 마지막 염을 관객들에게 보여준다. 한발짝 떨어져서 본다면 몰입이 강한 배우라면 이 연극을 계속 할 수 없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든다. 매번 마지막 염을 해야한다. 무대에 설 때마다 자식이 죽어나간다. 이건 어쩌면 염쟁이 유씨보다 감정의 노동이 격하지 않을까.
<염쟁이 유씨>는 접하기 힘든 염의 과정을 담았다는 점에서 눈에 띄지만 이야기의 구조에서는 굉장히 단조로운 모습이다.
'무대를 바라보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연극] 경성스타 ; 한국 연극을 사랑하는 당신이라면! Must see 연극 (0) | 2012.07.24 |
---|---|
[연극] 우리의 브로드웨이 마마 - 끊임없는 웃음에도 가볍지 않은 연극 (0) | 2012.07.24 |
[연극] 책,갈피 - 90년대 추억을 파는 연극 (0) | 2012.07.23 |
[연극] 하얀앵두 - 긴 호흡의 특별하지 않지만 인상적인 이야기 (0) | 2012.07.07 |
[연극] 봄의 노래는 바다에 흐르고 - 시원한 술 한잔에 까투리 타령을 부르면 오늘도 행복할 수 있으리 (0) | 2012.07.06 |
[연극] 거울 뒤 여자 - 거울 뒤 여자의 거울 깨기는 슬프다 (0) | 2012.07.06 |
[넌버벌 퍼포먼스] 드로잉쇼 히어로 - 형만한 아우는 없었지만 가능성은 더 크다 (0) | 2012.07.05 |
[연극] 토란·극 土乱 극 - 수 많은 이미지 만들기가 시도 되었지만... (0) | 2012.07.05 |
[연극] 크리스토퍼빈의 죽음 - 욕심은 마음을 힘들게 한다 (0) | 2012.07.05 |
[넌버벌 퍼포먼스] 드로잉쇼 에피소드 01 : The Look (0) | 2012.07.05 |